6/recent/ticker-posts

외국인 유학생과 전문가를 위한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

 🔍 외국인 유학생과 전문가를 위한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 무엇이 달라졌을까?

법무부는 202442, ‘() 출입국 이민정책의 핵심 과제 중 하나인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이 사업은 지방정부가 주도하고,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새로운 비자 제도, 외국인의 지역 정착과 산업 인력 유치를 동시에 지원하기 위해 설계되었어요.


 

 

🏛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이란?

광역형 비자란 각 지역이 필요로 하는 외국 인재를 유치할 수 있도록, 법무부가 해당 지역에 한해 비자 발급 요건을 완화해주는 제도입니다.
, 같은 외국인이라도 경기도, 대구, 경남 등 지역에 따라 학력·경력 요건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

예를 들어 산업기술 인력이 부족한 경기도, 해당 분야 외국인 근로자에게 학력 요건을 완화해 경기도 내 취업을 쉽게 해주는 방식이죠.

 

 

📌 추진 과정은 어떻게 되었을까?

법무부는 202312월부터 20242월까지 전국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했습니다.
이후 14개 지자체가 사업계획서를 제출했고, 법무부와의 협의를 통해 맞춤형 요건을 반영한 시범사업이 최종 확정되었어요.
이로써 중앙과 지방이 함께 설계한 이민정책의 첫 모델이 탄생한 셈입니다.

 

 

👨🎓 D-2 유학비자: 지역 맞춤형 혜택은?

D-2 유학 비자 시범사업은 총 10개 광역지자체(서울, 부산, 인천, 광주,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제주)가 참여했으며,
4,420명의 유학생을 대상으로 지역 맞춤형 비자 혜택을 제공합니다.

주요 개선 사항

재정요건 완화

시간제 취업 허용 시간 확대(기존 20시간 최대 30시간)

학기 중 인턴 활동 허용

체류기간 상한 확대(인천 외국대 국내 캠퍼스: 12)

🔍 지역별 예시

서울·부산·광주 등: AI, 로봇, 반도체, 이차전지 관련 전공자 대상 혜택

전남: 자격증 취득 시 시간제 취업 범위 확대

제주·전북: 관광 및 뿌리산업 분야 유학생 대상 재정요건 완화

 

 

👔 E-7 특정활동 비자: 숙련인력 유치 전략

E-7 비자 시범사업은 6개 지자체(대구, 경기, 경북, 경남, 대전, 울산)가 참여했으며,
이 중 4개 지자체가 1,210명의 외국 전문가 유치 목표를 갖고 시범사업을 운영 중입니다.

대상 직군

E-7-1: 전문직

E-7-2: 준전문직

E-7-3: 일반기능직
(E-7-4 숙련기능인력 점수제는 제외)

🔍 지역별 운영 사례

대구: 생명과학, 로봇 등 5대 신산업 관련 기업에 대해 학력·경력 요건 완화

경기도: 공학, ICT 분야 인재에게 한국어 능력 우수 시 학력 요건 완화

경북: 도지사 지정 해외 전문대 졸업자 대상 학력 기준 완화

경남: 해외 자회사 근무 중인 외국인 기술인력에 대해 경력 요건 완화

 

 

💬 광역형 비자 사업의 의미는?

이제 외국인 유학생과 전문가들이 단순히 대한민국에 오는 것을 넘어,
내가 일하고 싶은 지역을 선택하고, 그 지역의 제도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지역 산업은 필요한 인재를 유치하고, 외국인은 더 나은 조건에서 한국 생활을 시작할 수 있는 **‘상생형 이민 정책’**이죠.

 

 

🔗 마무리

📍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은 42일부터 본격 시행되었으며,
이제 비자는 중앙이 아닌 지역에서 시작됩니다!

👉 외국인 유학생 및 전문가 대상 비자 정책 정보는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또는 워크온 WorkOn공식 채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학 (D-2) 비자 맞춤형 요건

광역지자체

대상 분야

맞춤형 요건

서울

AI 혁신산업, 이공계 (로봇, AI, 바이오, 핀테크 등)

- 사회통합프로그램 4단계 이상 이수 등 요건 충족 시 인턴활동 허용
- 시간제 취업 허용시간 확대 (최대 30시간)

부산

반도체, 미래차, 이차전지 등

- 관련 전공 재학생에 대해 재정요건 1/2 완화
- 사회통합프로그램 4단계 이상 이수 등 요건 충족 시 학기 중 인턴활동 허용

인천

외국대학 국내분교 등

- 외국대학 국내분교 재학생 대상 체류기간 연장(1~2)
- 사회통합프로그램 4단계 이상 이수 등 요건 충족 시 학기 중 인턴활동 허용

광주

AI 미래자동차

- 관련 전공 재학생 재정요건 1/2 완화

강원

AI, 디지털헬스케어, 바이오헬스 등

- 생활비 부담을 낮추기 위한 재정요건 2/3
- 시간제 취업 허용시간 확대(30시간)
- 사회통합프로그램 4단계 이상 이수 등 요건 충족 시 인턴활동 허용

충북

바이오, 반도체 등

- 창업형 일·학습 병행 참여 유학생에 대해 재정요건 1/2 완화
- 시간제 취업 허용시간 확대(30시간)

충남

농생명, 반도체, 디스플레이, 석유화학 등

- 특화 산업 전공자에 대해 재정요건 1/2 완화
- 시간제 취업 허용시간 확대(30시간)

전북

첨단의료복합단지, 부리산업, 뿌리기술 등

- 특화산업 전공자 대상 재정요건 완화
- 시간제 취업 허용시간 확대(30시간)

전남

해상풍력, 에너지, 농수산, 조선 등

- 유망 분야 전공자 대상 재정요건 완화
- 지역 중소기업 연계 인턴십 활성화 지원

제주

관광 연계 특화

- 관광 분야 특화 유학생에 대해 재정요건 완화(1,000만 원 이상)
- 시간제 취업 허용시간 확대(30시간)

 

(null)

특정활동 (E-7) 비자 맞춤형 요건

광역지자체

대상 분야

맞춤형 요건

대구

대구 5대 신산업 (로봇, 미래형차, 의료헬스 등)

- E-7 비자 경로 강화
- 학력·석사 경력·전문학사 (3) 3년 이상
- 대구 신산업분야 전공자 대상으로 심사 기준 완화

경기

첨단 제조, ICT

- 외국인 유학생 대상 특화 전공 학위과정 운영 시 E-7 비자 연계 요건 완화
-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 정착 및 고용 연계 인프라 지원

경북

이공계계열 및 오만특성

- 경북 지역 해당 전공자 학위 소지자 자격요건 완화
- 오만특성 분야 국고보조금 연계 신사업 지원

경남

자차사 우수인재

- 해외 자차사 우수인력 도입 확대 (자차사 근무 경력 2년 이상자 학력 요건 면제)

 

댓글 쓰기

0 댓글